유의 이 게시물은 필자가 각종 자료를 공부하고, 필자의 흐름대로 재해석하여 작성한 것이므로 신뢰할 수 없거나 편향적인 내용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오로지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Avoid Note 에 관해서
최근 화성 이론을 공부하고 있다. 사실 Avoid Note 가 무엇인지 자세히 이해는 되지 않지만, 인공지능 섭시 및 위키 백과, 일부 영상 및 자료들을 공부해서 그나마 이해를 하였다. 본 게시글에서는 Avoid Note 을 이해하는 과정에 대해서 간단하게 언급하고자 한다.
Avoid Note
기본적으로 Avoid Note 관련해서는, 평행적인 관계에서 많이 적용되는 것 같다. 예를 들어 CM7 코드에서 가급적 피해야할 음 등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금지시 되는 것은 아니며 상황에 따라 '아주 짧게 쓰거나' 경과음으로 사용할 수는 있어보인다. 즉 길게 유지되는 코드나 화음으로써 사용을 비권장하는 것이지 경과음 조차 금지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Avoid Note의 정의는 바로 아래 코드 음과의 음정 간격이 단 2도인 경우이다. 즉 주 연주되는 코드와 어울리지 않는 음인지를 파악하는 방법인 것이다. 장 2도인 경우 Tension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음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부드럽고 화성?적이자 자연스러운 음을 위해서는 어보이드 노트를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그리고 이러한 어보이드 노트를 경과음으로 사용할 때 약박에 넣는 것이 좋다고 한다.
예를 들어, 아래와 진행이 있다고 가정한다.
Whitmemit 개인 일지 블로그는 개인이 운영하는 정보 공유 공간으로 사용자의 민감한 개인 정보를 직접 요구하거나 요청하지 않습니다. 기본적인 사이트 방문시 처리되는 처리 정보에 대해서는 '사이트 처리 방침'을 참고하십시오. 추가적인 기능의 제공을 위하여 쿠키 정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Whitmemit 에서 처리하는 정보는 식별 용도로 사용되며 기타 글꼴 및 폰트 라이브러리에서 쿠키 정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자료는 모두 필수 자료로 간주되며, 사이트 이용을 하거나, 탐색하는 경우 동의로 간주합니다.